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야기

AI 생태계의 핵심 플레이어 인공지능(AI) 분야에 총 100조 원을 투자

by 월드킹79 2025. 5. 10.

 

ai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2025년 4월 14일, 대선 출마 선언 이후 첫 번째 공약으로 인공지능(AI) 분야에 총 100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이를 통해 'AI 기본사회'를 구현하고, 대한민국을 세계 3대 AI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 주요 공약 내용 요약

 

1. 100조 원 규모의 AI 투자

  • 정부와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방식으로 100조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겠다는 계획입니다.
  • 정부는 민간 투자의 마중물이 되어 AI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증액하고자 합니다.

2. AI 인프라 및 기술 자립

  • AI 핵심 자산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최소 5만 개 이상 확보하고, AI 전용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과 실증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글로벌 AI 허브의 기반을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

3. AI 인재 양성과 규제 합리화

  • 지역 거점 대학에 AI 단과대학을 설립하고, 석·박사급 인재 양성 및 병역특례 확대, 해외 인재 유치 등을 통해 AI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AI 산업 진흥을 위한 규제 완화도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4. '모두의 AI' 프로젝트

  • 국민 모두가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게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AI로 금융, 건강, 식량, 재난 리스크를 분석하여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

5. 글로벌 협력 및 기술 주권 확보

  •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을 조성하고, 협력국 간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이를 통해 태평양, 인도, 중동 국가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다국적 데이터 활용 기반을 통해 디지털 인구 10억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 한국인공지능협회와의 정책 협약

2025년 5월 9일, 한국인공지능협회(KORAIA)는 이재명 후보와 AI 기술 주권 확보와 글로벌 AI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정책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협회는 이 후보가 제시한 'AI 분야 100조 원 투자 공약'의 조속한 실행을 촉구하며, GPU·NPU 인프라 확충, 데이터 클러스터 조성, AI 인재양성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 예산 집행 계획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 정치권의 반응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재명 후보의 AI 투자 공약에 대해 "대장동식 국가 주도 산업 투자 공약"이라며 비판했습니다. 그는 "국민은 이미 이재명식 투자·개발 모델의 실체를 대장동, 백현동 의혹을 통해 경험했다"며, 공공 주도를 내세웠지만 특정 세력만 천문학적 특혜를 가져갔다고 지적했습니다.

 

 

🔑 관련주

 

✅ 1. 마음AI (구 마인즈랩)

  • 주요 사업: AI 플랫폼, 음성인식·합성, 자연어처리, 챗봇
  • 특징:
    • AIaaS(AI as a Service) 플랫폼 ‘마음오토’ 운영
    • 고객센터 자동화, 콜봇, 감정 분석 기술 보유
    • 금융, 통신, 공공기관에 AI 솔루션 공급

✅ 2. 이스트소프트 (ESTsoft)

  • 주요 사업: 보안(알약), 소프트웨어, AI, 검색 기술
  • 특징:
    • AI 자회사 ‘딥아이(DeepEye)’ 통해 영상 분석, 얼굴 인식 기술 개발
    • 오랜 SW 개발 경험(알집, 알툴즈 등)
    • 보안과 AI 기술을 융합한 서비스 확장 중

✅ 3. 크라우드웍스

  • 주요 사업: AI 학습용 데이터 라벨링 플랫폼
  • 특징:
    • 국내 최대 규모의 크라우드소싱 기반 라벨링 기업
    •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데이터 가공 가능
    • 자율주행, 의료AI, 챗봇 등에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 제공

✅ 4. 이스트에이드 (ESTAID)

  • 주요 사업: AI 기반 헬스케어 및 시니어케어 서비스
  • 특징:
    • 이스트소프트 계열사
    • AI 챗봇 기반 디지털 돌봄 서비스 개발
    • 노인복지, 지역사회 복지관과 연계 가능성

✅ 5. 솔트룩스 (Saltlux)

  • 주요 사업: AI 빅데이터 분석, 음성인식, 언어지능, 지식그래프
  • 특징:
    • **자연어처리(NLP)**와 지식그래프 기반 AI 강자
    • 공공기관, 금융, 통신 분야에서 레퍼런스 다수 확보
    • AI 플랫폼 ‘AI Suite’, ‘말랑말랑 지니톡’ 등 서비스 운영

✅ 6. 에스피소프트 (SPsoft)

  • 주요 사업: AI, RPA(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 통합
  • 특징:
    • 기업용 AI 자동화 솔루션 개발
    • 다양한 산업에서 프로세스 자동화에 주력
    • 공공기관 프로젝트 다수 수행

✅ 7. 와이즈넛 (Wisenu)

  • 주요 사업: AI 챗봇, 검색엔진, 자연어처리
  • 특징:
    • AI 기반 지능형 검색엔진챗봇 솔루션 보유
    • 공공기관 및 대기업용 AI 고객상담 솔루션 다수
    • 정부 AI 바우처 사업에도 활발히 참여